더불어민주당의 전국적 지지도와 문재인대통령의 높은 국정지지도를 감안한다면 경주에서의 30%에 육박하는 민주당지지도를 감안했을 때 당지지도와는 별개의 지지도를 나타내고 있는 임배근 후보의 여론조사상의 지지도는 납득하기 힘들다.
경주시에서의 민주당지지도와 같은 속도로 높아가는 것이 상식이지만 후보자 지지도는 일정한 선에 계속 묶여 있다. 그리고 포항, 구미, 경산, 칠곡, 영덕 등의 경북 여타도시와 이웃 울산광역시에서의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선전을 감안하였을 때도 이해되지 않는다.

선거초반의 후보의 낮았던 인지도를 생각한다면 시간이 경과하면 민주당의 지지율 상승과 더불어 오르는 것이 상식이지만 수개월 전부터 18%선에서 묶여있는 지지도는 이해하기 힘들었다.
이에 중앙선관위에 등록된 여론조사 결과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여론조사업체에 의한 후보자들 지지도 여론조사에서 많은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제 더 이상 왜곡된 여론조사를 근거로 민심을 오도하는 경주의 정치풍토는 쇄신되어야 한다.
이에 경주시 선거관리위원회에도 여론조사업체의 여론왜곡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요청하였다.
첫째, 2017년도 인구통계기준 경주시 50대 17.9%, 60세 이상27.4%로 약 45%임 에도 불구하고 4번의 여론조사과정에서 조사목표할당수를 보면 50대와 60세 이상 연령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평균 21.4%와 32.8%로 50대 이상 연령층이 54.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인구통계분포와 비교하면 9%나 더 높게 5,60대층을 많이 여론조사에서 반영하고 있다.
셋째, 전화여론 조사상 기본적인 문제로서 전체 응답률이 5% 내외로 심각하게 낮아 여론왜곡을 초래 할 수 있다.
넷째, 무선전화 비중이 80%인 경우는 없고 유선전화와 무선전화 비율이 50%대 50%이거나 심한 경우 6월6일자 코리아정보리서치의 조사 경우 100%유선전화를 사용하여 보수적인 결과치가 나올 수밖에 없는 조사를 진행하고 있어 여론의 왜곡이 심각하다.
다섯째, 특정여론조사 업체가 지속적으로 여러 번 조사를 할 때 그 업체의 표본모집단은 계속적으로 동일할 가능성이 높아 결과 치는 비슷하게 나올 수밖에 없어 정확한 여론파악이 힘들 수 있다.
이상이외에도 선거여론조사가 가지는 많은 문제점이 있을 가능성이 없지 않아 선거여론조사가 민심을 오도하며 선거가 진행되는 것은 더 이상 용납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